휠체어댄스스포츠 자격기준 및 스포츠 등급
-
1) 자격
- IPC의 규정에 따라 IPC 휠체어댄스스포츠에 적격한 장애자격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고긴장증(Hypertonia): 예를 들어 부상, 질병 혹은 중추신경계 손상을 포함한 상태
- 운동실조증(Ataxia): 뇌성마비와 다발성 경화증
- 무정위운동증(Athetosis): 예를 들어 뇌성마비 혹은 뇌 손상
- 손상된 근육 힘: 예를 들어 림프의 근육 혹은 하반신마비로 인한 하반신, 소아마비 혹은 이분척추 혹은 다른 상태
- 손상된 수동적 움직임 범위
- 사지결손: 외상 혹은 질병의 결과, 선천성 사지결손으로 뼈나 관절의 전체 혹은 일부 결손
- 다리 길이 차이: 예를 들어 선천적 결핍 혹은 외상에 따름
- 정신기능: 정신운동의 제어 기능장애, 정신운동 기능의 질, 시공간 지각능력, 높은 레벨의 조직 및 계획운동에 필요한 인지능력, 연속성, 조직적 복합, 목적성 운동에 필요한 정신적 기능을 포함
- 청각기능
- 통증: 근육약화와 통증증후군으로 인한 관절의 고착증세
- 손상된 근육 힘: 예를 들어 림프의 근육 혹은 하반신마비로 인한 하반신, 소아마비 혹은 이분척추 혹은 다른 상태
- 관절의 불안정: 어깨관절 불안정과 관절탈구 포함
- 근육의 지구력 기능
- 자동 반사운동 기능
- 불수의 움직임 반응 기능
- 틱 장애, 본인인지불능 버릇
- 상동증과 보속증
- 심장혈관 기능
- 호흡 기능
- 대사 및 내분비계 관련 기능
- 작은 신장
- 시각 장애

4) IPC 휠체어댄스스포츠에 참여할 수 있는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 선수의 장애정도는 위 1.1목록에 포함된 최소 장애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.
장애유형 | 최소 장애 기준 |
---|---|
고긴장증, 운동실조증, 무정위운동 | 최소 하체의 한쪽이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인한 의학적 상태결과: 근긴장상태(경련, 강직) 과/혹은 disco-ordination인 경우 Modified Ashworth Scale기준 |
손상된 근육 힘 | 양쪽 하체가 최소 10 근육 힘 포인트를 손실한 경우: 엉덩이 굴근, 엉덩이 신근, 엉덩이 내전근, 엉덩이 외전근, 무릎 굴근, 무릎 신근, 발목 뒤 굴근과 발바닥 굴근 Daniels and Worthingham Scale기준 (최대. 80포인트) |
손상된 수동적 움직임 범위 | 무릎의 움직임범위가 30도 이내 일 때 혹은 발목강직의 경우 |
사지결손 | 발목절단(symes amputation):발목관절, 복사뼈 절단 혹은 지체이상으로 인한 결손 |
다리 길이 차이 | 다리가 최소 7센티미터 짧은 경우 |
6) 등급분류사는 선수가 최소 장애 기준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기술적 심사만 진행합니다. 만약 선수가 최소 장애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면, 선수의 기술적 심사는 등급을 부여받지 못한 결과로 마치게 됩니다.
2) 심사 방법론
-
1) 근육운동 테스트는 Daniels and Worthingham 저울을 이용하여 진행됩니다.(In: Hislop, H. J., & Montgomery, J. (2002) : Daniels and Worthingham 저울 테스트: 매뉴얼의 기술 시험(7th 에디션). 필라델피아: W.B. Saunders Company, 1점과 2점은 0점으로 간주됩니다.
- 골반의 움직임: 골반의 움직임을 조정할 수 있는 능력
- 몸통 힘: 무게 중심 밖의 앞 방향 및 양 옆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는 능력
- 몸통 회전: 균형을 잃지 않고 몸통을 완전히 회전할 수 있는 능력
- 머리와 목의 움직임: 연장선상에서 머리와 목을 함께 움직일 수 있는 능력
- 팔의 조정: 댄싱포지션 중 파트너와 함께 클로즈드 무브먼트 체인 상태의 상호작용적인 움직임 중에 팔뼈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
- 손잡기: 동적인 움직임 중 손으로 잡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
- 골반의 움직임: 골반의 움직임을 조정할 수 있는 능력
- 몸통 힘: 무게 중심 밖의 앞 방향 및 양 옆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는 능력
- 몸통 회전: 균형을 잃지 않고 몸통을 완전히 회전할 수 있는 능력
- 머리와 목의 움직임: 연장선상에서 머리와 목을 함께 움직일 수 있는 능력
- 팔의 조정: 댄싱포지션 중 파트너와 함께 클로즈드 무브먼트 체인 상태의 상호작용적인 움직임 중에 팔뼈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
- 팔 뻗기: 팔을 안으로 구부리고 밖으로 뻗는 동작의 자유로운 움직임의 동작을 연장 및 조절 수행할 수 있는 능력
- 손잡기: 동적인 움직임 중 손으로 잡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
- 휠체어 조작: 휠체어를 한 손으로 가속, 정지할 수 있는 능력
- 골반의 움직임: 골반의 움직임을 조정할 수 있는 능력
- 몸통 힘: 무게 중심 밖의 앞 방향 및 양 옆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는 능력
- 몸통 회전: 균형을 잃지 않고 몸통을 완전히 회전할 수 있는 능력
- 머리와 목의 움직임: 연장선상에서 머리와 목을 함께 움직일 수 있는 능력
- 팔의 조정: 균형을 잃지 않고 각 팔을 대각선으로(비스듬하게) 움직일 수 있는 능력
- 팔 뻗기: 무게중심 밖 *세 방향으로 자유로운 움직임의 동작을 연장 및 조절 수행할 수 있는 능력: *중심을 잃지 않고 완전히 안쪽으로 구부리기, 밖으로 뻗기, 90도 안쪽으로 구부리기
- 손잡기: 동적인 움직임 중 손으로 잡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
- 휠체어 조작: 휠체어를 한 손으로 가속, 정지할 수 있는 능력
- 2포인트: 완전하게 기능하는 경우
- 1포인트: 일부 기능하는 경우
- 0포인트: 전혀 기능하지 못하는 경우
- 모든 댄스스포츠에 대한 골반의 움직임
- 모든 댄스스포츠에 대한 머리와 목의 움직임
- 콤비 스탠다드를 위한 팔의 조정
- 콤비 스탠다드를 위한 손잡기
- 따라서 신체의 양쪽 측면에 대한 기능적 테스트에서 도달할 수 있는 최대 점수는 각 분야에 대해 40점입니다.
2) 고긴장증에 대한 심사는 Ashworth저울을 이용하여 진행됩니다.(Ashwirth, B: (1964)) 다발성경화증의 카리소프로돌(약이름)로 예비실험
3) 장애 정도가 최소 장애 기준에 부합하는 선수의 경우, 참가하게 될 스포츠댄스스포츠경기와 관련된 기술적 심사를 받게 됩니다.
4) 기술적 심사는 참가하게 될 스포츠댄스스포츠경기에 관련된 운동의 명확한 기능위주의 검사로 구성되어있습니다. 이러한 심사는 상체와 몸통의 기능적인 측면을 확인합니다. 그 후 그 선수에 대한 스포츠 등급이 부여됩니다.
5) 선수는 경기용 휠체어 및 경기에서 사용하는 모든 끈 외에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되는 기타 물품을 착용하신 상태에서 검사가 진행됩니다.
6) 기능적 심사에서는 선수의 다음과 같은 부분에 대한 심사가 진행됩니다.
▶ 콤비 스탠다드 선수의 경우, 여섯 가지 기능적 심사가 적용됩니다.
7) 위 기능은 신체의 각 측면에 대해서 평가됩니다.
8) 다음 점수 메커니즘은 기능적 테스트에 적용됩니다.
▶ 다음 기능적 테스트 결과에 대해 2의 가중 요소가 적용됩니다.
9) 아래 표는 기술적 심사와 그 스코어링 시스템이 진행되는 동안 수행된 기능적 테스트에 대해 설명합니다.
▶ 콤비 스탠다드 선수의 경우
테스트 | 가중요소 | 점수와 능력 |
---|---|---|
골반의 움직임 선수는 등받이를 사용하지 않고 앞으로 앉습니다. 그리고 /혹은 최대한으로 좌우 앞뒤방향으로 골반의 움직임 조정합니다. 그리고 /혹은 등급분류사의 손을 잡은 상태로 휠체어를 회전합니다. (골반의 움직임 검사는 스트랩 없이 진행됩니다. |
2 |
0점 움직임 없음 |
1점 좌우 앞뒤방향 골반의 움직임에 제한이 있음 |
||
2점 모든 방향으로 골반의 움직임이 완전하게 가능함 혹은 등급분류사의 손을 잡은 상태에서 휠체어의 회전이 완전하게 가능함 |
||
몸통 힘 선수는 앞으로 몸을 숙이고 각 방향으로 굽힌 후 각 움직임 후에 꼿꼿한 자세(직립자세)로 돌아옵니다. |
1 |
0점 몸통을 꼿꼿한 자세(직립자세)로 돌아올 수 있는 능력 없음. |
1점 앞으로 숙이는 데 한계가 있음 혹은 옆 방향으로 천천히 꼿꼿한 자세(직립자세)로 되돌아옴 혹은 조정의 불안정함 |
||
2점 모든 방향으로 도움 없이 몸통을 완전하게 움직일 수 있음 |
||
몸통회전 선수는 몸통을 각 방향으로 돌립니다. |
1 |
0점 몸통을 돌릴 수 없음 |
1점 움직임에 제한이 있음 혹은 몸통 상부로 국한된(분리된) 움직임 |
||
2점 몸통전체의 완벽한 회전 |
||
머리와 목의 움직임 선수는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머리를 각 방향으로 뻗어 타원형모양으로 움직입니다. |
2 |
0점 목을 움직일 수 없음, 목을 뻗는데 제한이 있음, 목의 움직임을 조정할 수 없음 |
1점 회전하는데 한계가 있음 뻗기 그리고 /혹은 조정에 한계가 있음 |
||
2점 모든 방향으로의 목의 움직임이 완벽하게 조정됨 |
||
팔의 조정 선수는 타원형을 만든 상태를 유지합니다. 그리고 다른 도전적이고 동적인 테스트 움직임이 진행되는 동안 형태를 유지합니다. |
2 |
0점 팔의 형태를 만들 수 있는 능력 없음 그리고 /혹은 유지할 수 있는 능력 없음 |
1점 움직임에 제한이 있음 그리고 /혹은 동적인 테스트 움직임이 진행되는 동안 팔을 유지하거나 조정하기 어려움 |
||
2점 모든 동적인 테스트 움직임이 진행되는 동안 팔의 형태를 유지하거나 조정할 수 있음 |
||
손잡기 선수는 등급분류사의 손을 잡습니다. 그리고 동적인 움직임에도 손을 잡은 상태를 유지하려고 노력합니다. |
2 |
0점 잡을 수 있는 능력이 없음 |
1점 동적인 움직임에서 완벽하게 잡는 능력 그리고 /혹은 조정하는 능력이 부족함 |
||
2점 동적인 움직임에도 잡은 상태를 완벽하게 유지할 수 있음 |
▶ 듀오 스탠다드 선수의 경우
테스트 | 가중요소 | 점수와 능력 |
---|---|---|
골반의 움직임 선수는 등받이를 사용하지 않고 앞으로 앉습니다. 그리고 /혹은 최대한으로 좌우 앞뒤방향으로 골반의 움직임 조정합니다. 그리고 /혹은 등급분류사의 손을 잡은 상태로 휠체어를 회전합니다. (골반의 움직임 검사는 스트랩 없이 진행됩니다. |
2 |
0점 움직임 없음 |
1점 좌우 앞뒤방향 골반의 움직임에 제한이 있음 |
||
2점 모든 방향으로 골반의 움직임이 완전하게 가능함 혹은 등급분류사의 손을 잡은 상태에서 휠체어의 회전이 완전하게 가능함 |
||
몸통 힘 선수는 몸을 앞으로 굽히고 일어납니다. 또한 왼쪽과 오른쪽 각각의 방향으로 몸을 굽힙니다. |
1 |
0점 몸통을 꼿꼿한 자세(직립자세)로 돌아올 수 있는 능력 없음. |
1점 앞으로 숙이는 데 한계가 있음 혹은 옆 방향으로 천천히 꼿꼿한 자세(직립자세)로 되돌아옴 혹은 조정의 불안정함 |
||
2점 모든 방향으로 도움 없이 몸통을 완전하게 움직일 수 있음 |
||
몸통회전 선수는 몸통을 각 방향으로 돌립니다. |
1 |
0점 몸통을 돌릴 수 없음 |
1점 움직임에 제한이 있음 혹은 몸통 상부로 국한된(분리된) 움직임 |
||
2점 몸통전체의 완벽한 회전 |
||
머리와 목의 움직임 선수는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머리를 각 방향으로 뻗어 타원형모양으로 움직입니다. 선수는 탱고에서 사용되는 샤프 헤드-턴을 합니다. |
2 |
0점 목을 움직일 수 없음, 목을 뻗는데 제한이 있음, 목의 움직임을 조정할 수 없음 |
1점 회전하는데 한계가 있음 뻗기 그리고 /혹은 조정에 한계가 있음 |
||
2점 모든 방향으로의 목의 움직임이 완벽하게 조정됨 |
||
팔의 조정 선수는 타원형을 만든 상태를 유지합니다. 그리고 다양한 동적인 테스트 움직임이 진행되는 동안 형태를 유지합니다. |
2 |
0점 팔의 형태를 만들 수 있는 능력 없음 그리고 /혹은 유지할 수 있는 능력 없음 |
1점 움직임에 제한이 있음 그리고 /혹은 동적인 테스트 움직임이 진행되는 동안 팔을 유지하거나 조정하기 어려움 |
||
2점 모든 동적인 테스트 움직임이 진행되는 동안 팔의 형태를 유지하거나 조정할 수 있음 |
||
팔 뻗기 선수는 양팔을 두 방향으로 뻗습니다. 안쪽으로 구부리고 뻗습니다. |
1 |
0점 팔의 움직임이 없거나 부족함 |
1점 팔의 움직임 조정에 제한이 있음 혹은 어느 방향으로든 뻗는 움직임을 유지할 수 없음 |
||
2점 안쪽으로 구부리고 뻗는 동안 무게중심과 상관없이 두 방향으로 뻗는 것이 가능하고 어깨의 움직임이 완벽한 상태 |
||
손잡기 선수는 등급분류사의 손을 잡습니다. 그리고 동적인 움직임에도 손을 잡은 상태를 유지하려고 노력합니다. |
2 |
0점 잡을 수 있는 능력이 없음 |
1점 동적인 움직임에서 완벽하게 잡는 능력 그리고 /혹은 조정하는 능력이 부족함 |
||
2점 동적인 움직임에도 잡은 상태를 완벽하게 유지할 수 있음 |
||
휠체어 조작(바퀴 조작) 선수는 휠체어를 가능한 최대로 빠르게 가속합니다. 그리고 갑자기 멈춥니다. 선수는 한손을 이용하여 뒤 방향으로 돕니다. 그리고 한손을 허벅지에 올려놓은 상태로 갑자기 멈춥니다. |
2 |
0점 각각의 손으로 가속하고 멈출 수 있는 능력이 없음 또는 한손을 이용하여 뒤 방향으로 돌 수 있는 능력이 없음 |
1점 느린 가속, 어떠한 방향으로든 조정할 수 없음 |
||
2점 완벽한 가속, 빠른 정지, 모든 방향으로 완벽하게 조정 가능함 |
▶ 싱글, 콤비 라틴, 듀오 라틴, 프리스타일 선수의 경우
테스트 | 가중요소 | 점수와 능력 |
---|---|---|
골반의 움직임 선수는 등받이를 사용하지 않고 앞으로 앉습니다. 그리고 /혹은 최대한으로 좌우 앞뒤방향으로 골반의 움직임 조정합니다. 그리고 /혹은 휠체어를 앞으로 가도록 추진한 후 휠체어의 방향을 오른쪽과 왼쪽으로 손을 사용하지 않고 방향을 바꿉니다. 그리고 앞으로 계속 가도록 합니다. (골반의 움직임 검사는 스트랩 없이 진행됩니다. |
2 |
0점 움직임 없음 |
1점 좌우 앞뒤방향 골반의 움직임에 제한이 있음 |
||
2점 모든 방향으로 골반의 움직임이 완전하게 가능함 혹은 등급분류사의 손을 잡은 상태에서 휠체어의 회전이 완전하게 가능함 |
||
몸통 힘 선수는 앞으로 몸을 숙이고 각 방향으로 굽힌 후 각 움직임 후에 꼿꼿한 자세(직립자세)로 돌아옵니다. |
1 |
0점 움직임 없음 |
1점 앞으로 숙이는 데 한계가 있음 혹은 옆 방향으로 천천히 꼿꼿한 자세(직립자세)로 되돌아옴 혹은 조정의 불안정함 |
||
2점 모든 방향으로 도움 없이 몸통을 완전하게 움직일 수 있음 |
||
몸통회전 선수는 몸통을 각 방향으로 돌립니다. |
1 |
0점 몸통을 돌릴 수 없음 |
1점 움직임에 제한이 있음 혹은 몸통 상부로 국한된(분리된) 움직임 |
||
2점 몸통전체의 완벽한 회전 |
||
머리와 목의 움직임 선수는 머리를 각 방향으로 타원형모양의 움직임으로 조정합니다. |
2 |
0점 목을 움직일 수 없음, 목을 뻗는데 제한이 있음 |
1점 목 움직임에 한계가 있거나 조정할 수 없음 |
||
2점 모든 방향으로의 목의 움직임이 완벽하게 조정됨 |
||
팔의 조정 선수는 쭉 뻗은 팔을 바닥의 중앙선에서 가까운 대측성 다리부터 동쪽의 가장 먼 지점까지 완벽한 대각선의 움직임을 합니다. |
2 |
0점 움직임이 부족하고 조정 안 됨 |
1점 움직임에 제한이 있거나 조정이 안 됨. 도움이 필요할 수 있음 |
||
2점 도움 없이 모든 범위의 조정된 움직임이 가능함 |
||
팔 뻗기 선수는 한손을 가슴에 둔 상태로 한손을 세 방향으로 가능한 한 뻗을 수 있는 최대로 뻗습니다. |
1 |
0점 팔의 움직임이 없거나 부족함 |
1점 팔의 움직임 조정에 제한이 있음 그리고/혹은 중력의 중심 밖으로 뻗기 어려움 그리고/혹은 한 방향에 대해 행할 수 없음 |
||
2점 다양한 속도로 중력의 중심 밖에서 도움 없이 모든 방향으로 방향조정이 가능함 |
||
휠체어 조작(바퀴 조작) 선수는 휠체어를 가능한 최대로 빠르게 가속합니다. 그리고 갑자기 멈춥니다. 선수는 한손을 이용하여 뒤 방향으로 돕니다. 그리고 한손을 허벅지에 올려놓은 상태로 갑자기 멈춥니다. |
2 |
0점 각각의 손으로 가속하고 멈출 수 있는 능력이 없음 또는 한손을 이용하여 뒤 방향으로 돌 수 있는 능력이 없음 |
1점 느린 가속, 어떠한 방향으로든 조정할 수 없음 |
||
2점 완벽한 가속, 빠른 정지, 모든 방향으로 완벽하게 조정 가능함 |
||
손잡기 선수는 등급분류사의 손을 잡습니다. 그리고 동적인 움직임에도 손을 잡은 상태를 유지하려고 노력합니다. |
2 |
0점 잡을 수 있는 능력이 없음 |
1점 동적인 움직임에서 완벽하게 잡는 능력 그리고 /혹은 조정하는 능력이 부족함 |
||
2점 동적인 움직임에도 잡은 상태를 완벽하게 유지할 수 있음 |
1) 스포츠 등급들
1) 최소 장애등급기준에 부합하는 장애인선수는 기술적 평가를 기반으로 하여 댄스스포츠의 선수로서 경기에 참석할 수 있는 IPC휠체어댄스스포츠의 스포츠 등급중 하나를 부여받게 됩니다.▶ 콤비 스탠다드 선수의 경우
- SC1: 2.6.1에 정의되어 있는 기술적 평가에서 23점 이하(23점 혹은 더 낮은 점수)를 받은 선수에 대해서 SC1 스포츠
클래스가 부여됩니다.
- SC2: 2.6.1에 정의되어 있는 기술적 평가에서 24점 이상(24점 혹은 더 높은 점수)를 받은 선수에 대해서 SC2 스포츠 클래스가 부여됩니다.
- SD1: 2.6.2에 정의되어 있는 기술적 평가에서 24점 이하(24점 혹은 더 낮은 점수)를 받은 선수에 대해서 SD1 스포츠
클래스가 부여됩니다.
- SD2: 2.6.2에 정의되어 있는 기술적 평가에서 25점 이상(25점 혹은 더 높은 점수)를 받은 선수에 대해서 SD2 스포츠 클래스가 부여됩니다.
- LC1: 2.6.2에 정의되어 있는 기술적 평가에서 24점 이하(24점 혹은 더 낮은 점수)를 받은 선수에 대해서 SD1 스포츠 클래스가 부여됩니다.
- LC2: 2.6.2에 정의되어 있는 기술적 평가에서 25점 이상(25점 혹은 더 높은 점수)를 받은 선수에 대해서 SD2 스포츠 클래스가 부여됩니다.